올해의 사회적 이슈들 2023

(553) 노인 파산 시대 … 가난과의 전쟁ㅣ#헬로tv뉴스 - YouTube

요약
:older_man::older_woman: 노인 빈곤 문제 증가 중
:chart_with_upwards_trend: 2012년부터 2021년까지 65세 이상 인구 48% 증가
:moneybag: 중위소득 이하인 빈곤층 57.6%
:crystal_ball: 2059년에 기대 수명 90세 예상
:office: 협력과 개선을 통한 해결 필요
:balance_scale: 전문가들은 50세부터 은퇴 준비 필수

Transcript:
(00:01) 우리 사회가 빠르게 늙어갈수록 걱정되는 부분이 바로 노후 문제인데요 노인 빈곤 문제도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먹고살기 바빠 노후준비를 하지 못한 채 은퇴하는 분들이 많기 때문인데 파산하거나 파산의 직면하는 이른바 빈곤노인이 앞으로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네 남 얘기가 아니라 내 이야기가 될지도 모르는 노인 파산 문제 해법은 없는지 기말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시내의 한 도로에서 쓰레기를 줍는 어르신들 지자체에서 고령층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시행하는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한 이들입니다 하루 3시간 한 달에 열차례의 거리 정화 활동을 하고 받는 돈은 27만원 적다면 적은 금액이지만 매월 정기적으로 수입이 생기는만큼 어르신들 사이에서는 큰 인기입니다이 때문에 노인 일자리 사업에 평균 경쟁률은 4대 1입니다 참여자 대부분도 80세 이상입니다 다른 일도 있으실 텐데 어떻게 이게 무슨 일을 합니까
(01:13) 올해 89살 방무 할머니가 사는 집입니다 벽지는 뜯기고 집안 곳곳에 옷가지들이 어지럽게 널려 있습니다 건강이 좋지 않아 일을 할 엄두도 내지 못하고 하루종일 집에만 있습니다 몇 년 전부터 집주인이 나가 달라고 하는데 마땅히 갈 곳이 없습니다 노인 빈곤 문제는 해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지난 2012년 국내 65세 이상 인구는 590여만 명에서 10년 만인 2021년 880여 만 명으로 무려 48%나 증가했습니다 고령층 증가에 비데 상대적 빈곤율 역시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지난 2021년 65세 이상 전체 고령층 880여만 명 가운데 중위소득 이하인 빈곤층은 57.6%,
(02:18) 500여만 명으로 10년 전인 지난 2012년 대비 2.2% 포인트 증가했습니다 특히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35년 후인 오는 2059년에는 기대 수명이 90세에 이르게 됩니다 기대수명 90세인 2059년 인구 전망은 4,300여 만 명으로 감소하는 반면 65세 이상 고령층은 1800여 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43%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현재 노인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공공자금이 투입되고 있지만 이런 추세라면 한계에이를 수밖에 없습니다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공공과 민간이 협력을 통해 다가올 문제를 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노인들이 좀 더 오랫동안 노동시장에 머물 수 있도록 작업 환경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많이 개선시키면서 그 지역에 있는 민간기업과 함께 노인들이 좀 매일을 할 수 있도록 같이 협력하는 그런 것들이 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인생은 60부터라는 말도 이제는 옛말
(03:22) 정년 연장 문제는 이미 사회적 화두가 됐습니다 전문가들은 자신의 노후준비 시점을 50세부터 보고 계획적인 은퇴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헬로tv 뉴스 김한식입니다 [음악]

  • :moneybag: 이른바 영끌 통계에 따르면, 대출을 받은 사람 중에서 다중 채무자가 448만 명으로 나타났습니다.
  • :bank: 가게 대출자 중에서 22.6%가 다섯 개 이상의 금융 기관에서 대출을 받고 있습니다.
  • :credit_card: 다중 채무자들은 연간 벌고 있는 돈의 61.5%를 원금과 이자 갚는 데 사용하고 있습니다.
  • :chart_with_upwards_trend: 한 명당 대출액은 올초 1분기보다 평균 113만 원씩 줄었으며 DSR이 0.5% 포인트 낮아졌습니다.
  • :chart_with_downwards_trend: 하지만 연체율이 조금씩 늘고 있으며, 가계부채가 여전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 :shopping: 소비 여력이 감소하고 있으며, 가게 평균 월 흑자액이 13.8% 감소했습니다.
  • :chart_with_upwards_trend: 금리 상승으로 인해 이자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자 지출이 가계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 :bar_chart: 소매 판매의 계절 조정 지수는 5.2% 하락하여 소비의 축소를 나타냈습니다. :chart_with_upwards_trend: 물가 상승:
    • 물가가 오르는 추세, 특히 기름값과 식료품 등의 공공 요금 가격 증가
    • 겨울에는 에너지 비용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

:moneybag: 소비 부진:

  • 식료품 및 의류 소비가 줄어듦
  • 휴가 및 여가 관련 서비스 소비도 감소
  • 소비 부진으로 경기 둔화 가능성

:bank: 가게 대출 증가:

  • 가게 대출이 계속 늘어나며 부담 증가
  • 빚을 더 늘리는 경향으로 소비 악순환

:thinking: 대응 필요:

  • 소비 부진과 물가 상승에 대한 대응 필요
  • 가게 부채 상황 관리 및 물가 상승 대비 필요
  • :worried: 그만두려는 용기가 나지 않음
  • :pensive: 시달리는 상황도 아니지만 조직 내에서 무력감을 느낌
  • :no_mouth: 튀어나오면 부담스러워서 입을 다물 수 없음
  • :rage: 욕을 하고 싶지만 부서장이 사과하라고 피해자에게 말함
  • :triumph: 사건이 반복되거나 커질 때 부서에 문제가 되어 조용하게 마무리하도록 압박
  • :zipper_mouth_face: 위임장을 받을 때 위임장이 필요하다고 얘기하자마자 욕함
  • :rage: 부모까지 욕을 하면 부서장이 어떻게 대처하냐고 피해자에게 말함
  • :chart_with_downwards_trend: 공무원 사이에서 참는 문화가 형성됨
  • :sweat: 고충 상담 제도는 있지만 시도하지 않음
  • :sweat: 일을 해결할 수 있는 제도와 지원이 부족함
  • :disappointed: 악성 민원으로 공무원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침
  • :pensive: 공무원 사회에서 병가를 많이 사용함
  • :cold_sweat: 악성 민원으로 인한 공무상 제로 인정 어려움
  • :rage: 악성 민원을 유발한 사람에 대한 처벌 부족
  • :face_with_symbols_over_mouth: 공무원을 대상으로 화풀이하는 경우가 많음
  • :thinking: 공무원이 법과 원칙을 지키지 않으면 사회 안정에 영향을 미침
  • :fearful: 공무원 퇴직자가 증가하고 특히 20대와 30대 공무원 중 퇴사율이 높음
  • :confused: 상명 하복에 대한 태도가 세대마다 다름
  • :handshake: 자신을 존중해주고 무시하지 않는 인권 감수성 필요
  • :smiley: 과거와 달리 단체 사인 대신 다양한 방식으로 회사를 나감
  • :rocket: 교육의 목적은 사회서비스 기업의 투자 유치 역량 강화
  • :factory: 일부 참가기업은 사회서비스와 무관한 분야에서 활동
  • :jigsaw: 김민석 의원은 중앙사회서비스원의 방향성 문제를 지적
  • :briefcase: 중앙사회서비스원이 추진한 교육과정에는 ‘투자 유치 전략’ 및 ‘재무제표 관리’ 등이 포함
  • :loudspeaker: 김민석 의원은 사회서비스원이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

발달장애인 23% “모든 일상 도움 필요”…내년부터 국가가 책임진다 / YTNSummary

  • :handshake: 발달장애인 돌봄 서비스 개선
  • :clock3: 24시간 돌봄 서비스 제공
  • :date: 2024년 6월부터 시행
  • :family_man_woman_girl_boy: 발달장애인 부모들의 요구
  • :bar_chart: 25만여 명의 등록된 발달장애인
  • :child: 지적장애인 87%, 자폐성 장애인 13%
  • :crescent_moon: 야간엔 귀가, 일부는 지원주택 생활
  • :straight_ruler: 최중증 발달장애인에게 제공
  • :hospital: 2024년 기준 마련 예정
  • :palms_up_together: 특별 돌봄 서비스 강화
  • :chart_with_upwards_trend: 정밀검사비 지원 확대
  • :moneybag: 장애인연금 3.7% 인상
  • :clock3: 24시간 돌봄 서비스 내년 4월부터 제공
  • :tada: 주간 활동 서비스 최대 8시간

‘일본뉴스네트워크’(NNN)는 “일본 사회가 오랫동안 ‘결혼 불가결 사회’였다가 그 뒤에는 결혼이 어려운 ‘결혼 곤란 사회’, 이제는 혼자서도 즐겁게 사는 ‘결혼 불필요 사회’에 돌입했다”는 분석을 내놨다.

출처 : 20대 절반이 ‘모태솔로’인 일본, 한국 청년도 연애 안 한다는데… 왜?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